http://www.coolenjoy.net/bbs/boardc.php?id=37&no=2095&page=1&num=84&board=37&ss=0&sc=0&sn=0&keyword=&qa=0&ga=&cat=5&vote=0
고사양 게임들의 트랜드가 상당히 바뀌면서 다중코어를 활용하는 경향이 최근들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힘입어 과거에 i3계열 듀얼코어
CPU의 점유율을 상당부분 비슷한 가격에 여러개의 코어를 지닌 AMD FX-8120과 FX-8300, FX-6300의 CPU가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 CPU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여기에 최적화된 오버클럭 가이드는 빈약하기 이를 데 없는것도 사실입니다.
많은 FX시리즈 CPU를 써본것은 아니지만 FX-8150을 써보았고, 현재 8350을 쓰고
있으므로 그래도 어느정도 노하우는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제가 알고있는 지식 범위 내에서 AMD FX시리즈의 오버클럭 정보를 공유할까
합니다. 상당한 주관이 섞여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어떠한 보드를 쓰고있느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초 저가형 보드를 사용해도 오버클럭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물론 CPU의 소비전력은 그래픽카드에 비하면 귀여운 수준으로,
TDP가 200W가까이 되는 그래픽카드의 전원부도 보통 4+2페이즈 정도입니다.
FX-8000시리즈를 기준으로 4500Mhz 오버클럭을 하고 프라임을 구동하면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이 대충 300W 정도가 나옵니다. 여기서 메인보드 칩셋, 메모리, 그래픽카드 아이들 소비전력, 보조 기억장치 등의 소비전력을 뺴면
200W 정도로 4+2페이즈 메인보드로도 충분히 감당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그 메인보드가 얼마나 전압 유지능력이 뛰어나느냐는 별개의
문제죠. 개인적으로 7시리즈 칩셋을 사용한 8만원 이하의 메인보드에서는 오버클럭을 하시되 약간 낮게 적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거기다가 로드
라인 칼리브레이션이 지원되지 않는다면 오버클럭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서론은 여기까지 하고 바이오스 화면을 보면서 설명 하겠습니다. 메인보드는 크로스헤어 5
포뮬러로 물론 이정도 급의 고사양 보드를 고작 AMD CPU 오버하는데 구입하는 분들은 없을겁니다. 하지만, 10만원 대의 중급형 메인보드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수치이므로 이점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누구나 따라할 수 있게 메모리,
NB, HT클럭은 디폴트값에 가깝게 설정하겠습니다. 바이오스 이미지가 잘 안보이시면
클릭하세요. 기본쿨러를 사용하신다면 4.0Ghz가 최대 한계입니다.
개인적으로
.5 배수는 주지 않는것을 선호합니다. 이유는... 그냥 제가 해보니까 오버클럭이 잘 안되더라고요... 주관이 상당히 섞여있음을 다시한번
알려드립니다.ㅋ
CPU 배수 18
CPU 버스 주파수
250
18×250으로 4500Mhz가 됩니다.
메모리 클럭은 똥수율 메모리도 들어간다는 1600(1666)Mhz입니다.
AMD CPU에는 NB클럭과 HT클럭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일단 NB클럭이란, CPU에
내장된 메모리 컨트롤러 클럭으로 CPU와 메모리간 입출력 주파수입니다. 그런데 이게 왜 노스브릿지 클럭이냐 하면... 예전에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노스브릿지에 내장되어 있어서 NB클럭이라고 불렀습니다. 이것이 K8시리즈 애슬론64부터 CPU로 옮겨가 버렸는데 여전히 메모리 컨트롤러
클럭이라고 하지 않고 노스브릿지 클럭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FX-6000, 8000시리즈의 기본 NB클럭은
2200Mhz이고, 4000시리즈는 2000Mhz입니다.
HT; 즉 하이퍼 트랜스포트는 AMD CPU와 노스브릿지간 연결 기술을 의미합니다.
HT클럭이란 이 CPU와 노스브릿지간 입출력 주파수죠. AMD CPU를 쓰시는분들은 'HT클럭이 2000을 넘기면 데이터 오염이 생겨서 좋지
않다'는 말을 자주 들으셧을 겁니다. 예, 이것은 사실이죠. 하지만 AMD FX시리즈에서는 틀립니다. FX시리즈는 HT3.1이 지원되기 때문에 기본 HT클럭이
2600Mhz입니다. 단, 9시리즈 칩셋 메인보드 하에서만 HT3.1이 지원되므로 7, 8시리즈
칩셋 메인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2000Mhz로 두셔야합니다.
그래서 NB클럭은
2250(×9)HT클럭은 2750(×11)으로 설정합니다. 시스템이
불안정하거나 찝찝하시면 2500(×10)으로 두셔도 됩니다. 몇몇 메인보드에서는 클럭값이
안나오고 배수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는 괄호안의 배수를 넣으시면 됩니다.
4.5Ghz에서의 CPU전압은 1.4v가
안되게 주시되 뿔닥이라 부팅이 안된다면 1.4v 초반대 까지 주셔도 됩니다. 하지만 1.47v를 줘도 부팅이 안되면 포기하시는게 좋습니다.
8만원 이하 7, 8시리즈 칩셋 메인보드 사용자 분들은 배수를 16~17로 해서 4.0, 4.25Ghz에
CPU전압을 1.35v 이하로 주시는게 좋습니다.
NB전압은 CPU 안에있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들어가는 전압이므로 당연히 낮을수록 CPU온도가
낮아져서 CPU오버클럭에 도움이 됩니다. 기본 전압이 1.25v정도 일텐데 1.2v로도
충분합니다. 메모리 전압은 1.5v로 주시고, 오토로 놓으셔도 됩니다.
이 외 HT전압 등은 오토로 놓으시면
됩니다.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한해서 스위칭 주파수(Switching Frequency)를 2X로 두시면 응답속도가 빨라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비전력도 약간 올라갑니다.
메모리 타이밍은 예시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9-9-9-24-1T.
모든 전력관리 기술은 끄되 Cool'n'Quiet는
키는걸 추천합니다. 아이들 상태에서의 소비전력 절감이나 발열적 측면에서 상당히 좋고 코어 수가 많기떄문에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에서
버벅임도 거의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SSD를 사용하시기 때문도 있구요.
CPU 로드 라인 칼리브레이션(Load Line
Calibration)은 ASUS 메인보드 기준으로 Ultra High(75%)로 주시면 얼추 칼전압이 들어갑니다.
4.5Ghz오버클럭에서는 이 외에 다른 전원부 옵션을 건들지 않아도 간단하게 오버클럭이 가능하므로 나머지는 기본값으로 둡니다.
모두
설정하면 이렇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무시무시한 안정화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AMD
FX시리즈는 구조적 특성상
링스나 인텔번으로 안정화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프라임으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메모리 오버는 하지 않았으므로 CPU만 무식하게 갈구는 스몰로 돌립니다.
프라임 설정법은
여기에 자세하게 나와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3시간정도 진행해서 이상이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6/8코어를 100%
갈굴일은 없으므로 케이스 옆판을 열고 돌리시는걸 추천합니다.
프라임으로 부하를 걸었는데 기본클럭에서도 배수하락이 발생하면 AMD Over Drive에 있는 부하 테스트로 진행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이게 부하량이 크지 않아서
6~9시간은 구동해야 한다는 단점이...
이 외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