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bar2000 유용한 정보

2014년 10월 25일 토요일

출처 - http://kjnam99.blogspot.kr/2014/05/1.html

갖고 있던 CD들을 모두 리핑하고 푸바2000으로 태그 정리하기 시작하면서 아쉬웠던 기능들이 하나 둘씩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내 입맛에 맞는 푸바스킨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스킨적용 방법에 대해 하나하나 설명하기에 앞서 만들어진 스킨을 소개합니다.
전체적인 뷰는 아래와 같습니다.


말이 스킨이지, 실제로는 조그만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과 유사한 작업입니다.

포터블이기 떄문에 설치할 필요없이 압축 풀어서 그냥 실행하면 됩니다. 푸바는 포터블과 노멀 모두 설치가 가능한데, 관리 측면에서 포터블이 많이 편리합니다. 노멀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마도 Columns UI (CUI)로 작성된 스킨 적용방법은 잘 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스킨은 CUI로 작성되어 있더군요.) 제가 쓰는 환경은 Windows 7 64bit 입니다. 혹시 실행 에러나시는 분은 댓글 달아 주세요. 그리고 사용평도 같이 올려주시면 개선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얼핏 보기에 3 컬럼 기반이란 점에서 DarkOne 4와 유사해 보입니다. 그리고 색상과 ELP를 보면 Euros와도 닮아 보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 두 스킨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었습니다. (Euros도 DarkOne을 참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도 xChange, HiFoo에서도 차용한 코드가 있습니다. 처음 사용했던 스킨이 Euros였기 때문에 Euros의 깔끔함이 눈에 익었고, 다크원의 심플함과 잘 짜여진 코드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둘 다 마음에 안드는 점이 점차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몇 개의 화면을 더 보시죠...


가수의 약력(전기) 보기 화면 입니다. Last.fm이 제공하는 훌륭한 기능입니다. 선택하면 앨범사진을 볼 수도 있습니다. 자세히 보신 분은 이전 화면에서도 알아 채셨겠지만 플레이 중인 음악과 앨범커버 화면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또 일치 시킬 수도 있습니다. 위 화면과 같이 ABBA 노래를 들으면서 Smokie 노래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보통 푸바에서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잘 안되는 스킨도 있더군요.


컬럼의 갯수와 크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클래식 음악은 보통 타이틀이 매우 깁니다. 이렇게 놓고 보면 Euros와 유사합니다. Euros에서는 컬럼의 갯수가 2개로 고정되고 앨범커버 화면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점이 좀 아쉬웠습니다. 이점이 푸바 스킨에 손을 대기 시작한 계기이기도 합니다. 



Euros 있는 mini모드를 모방했습니다. 다크원에서는 못 찿은 기능입니다.


앨범커버(보통은 뒷면)를 커다랗게 볼 수도 있습니다.

Foobar 1.3.2 기반이고, 기본 컴포넌트외에 추가된 컴포넌트는 모두 user-componets 디렉토리에 들어있습니다.
  1. foo_alsong_lyric : 알송 가사 보기, 왼쪽 컬럼.
  2. foo_audioscrobbler : Last.fm에 scrobble 보내기. Last..fm 사용 안하시는 분은 빼도 됩니다.
  3. foo_customdb :  태그를 위한 로컬 SQL DB.
  4. foo_input_sacd : SACD 코덱.
  5. foo_playcount : play count 통계 데이터.
  6. foo_queuecontents : playlist 외에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플레이 큐.
  7. foo_quicksearch : Quick search. 오른쪽 아래.
  8. foo_run : 외부 프로그램 실행, 오른쪽 아래에 있는 장식용(?) 아이콘들을 위한 컴포넌트.
  9. foo_skip : 트랙 건너뛰기.
  10. foo_ui_columns : CUI 기본 컴포넌트.
  11. foo_uie_biography : 가수약력 및 앨범 커버 보기, 왼쪽 컬럼.
  12. foo_uie_elplaylist : ELPlaylist. 오른쪽 컬럼과 미니모드.
  13. foo_uie_esplaylist : ESPlaylist. ELPlaylist 와는 다른 성격의 playlist. 오른쪽과 왼쪽 컬럼.
  14. foo_uie_graphical_browser : 앨범 커버 전체 보기. 왼쪽 컬럼.
  15. foo_uie_library_tree : 라이브러리 트리. 왼쪽 컬럼과 미니모드.
  16. foo_uie_lyrics3 : 가사 보기. 왼쪽 컬럼.
  17. foo_uie_panel_splitter : Panel Splitter. 스킨 구성 기본 컴포넌트.
  18. foo_uie_quicksearch : foo_quicksearch를 위한 UI.
  19. foo_uie_vis_channel_spectrum : 채널 스팩트럼, 가운데 컬럼.
  20. foo_uie_vis_peakmeter_spectrum : 피크미터 스팩트럼, 가운데 컬럼.
  21. foo_uie_wsh_panel_mod :  WSH panel. 스킨 코드 기본.
  22. foo_vis_vumeter : 아날로그 UV 미터. 가운데 컬럼.
  23. foo_wave_seekbar : 웨이브 형식의 seekbar(플레이중인 곡의 위치 표시)
이 외에도 사용환경(또는 취향)에 따라. DSP, 코덱, WASPI, remote등을 추가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File/Preferences에서 몇가지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태그정리에 대해 사용자의 명확한 입장과 이러한 사용자의 취향이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각자의 취향이 달라 결국에는 자신의 스킨을 만들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간혹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취향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다음편에 올립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